샤코탄반도 해역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코탄반도 해역 지진은 유라시아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인 일본해 동연 변동대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이 지역은 지질학적으로 태평양판, 필리핀해판, 오호츠크판, 아무르판의 수렴 경계에 위치하며, 동해 동연 변동대에서 규모 6.8~7.9의 지진과 쓰나미가 발생할 수 있다. 1940년에 발생한 샤코탄반도 해역 지진은 모멘트 규모 7.5로, 홋카이도와 주변 해역에 큰 피해를 입혔으며, 쓰나미는 한국과 러시아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 지진은 10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키고, 주택 붕괴 및 선박 피해를 일으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0년 8월 - 영국 본토 항공전
영국 본토 항공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공군이 영국 본토 상륙 작전을 위해 1940년 7월부터 10월까지 영국 공군 부대 섬멸을 목표로 벌인 공중전으로, 영국은 더우딩 시스템을 통해 맞서 싸워 독일의 침공 계획을 좌절시키고 연합군의 반격 발판을 마련하는 데 기여했다. - 1940년 8월 - 이탈리아의 영국령 소말릴란드 점령
1940년 8월 이탈리아 왕국군이 영국령 소말릴란드를 침공하여 점령했으나, 1941년 초 영국군의 반격으로 탈환되었다. - 한국의 지진해일 - 1643년 울산 지진
1643년 울산 지진은 1643년 음력 6월 9일과 10일 경상도 지역에서 발생하여 성벽 붕괴, 관아 붕괴, 지진해일 등의 피해를 입혔으며, 사회적 불안을 야기했다. - 한국의 지진해일 - 호에이 지진
1707년 난카이 해곡에서 발생한 호에이 지진은 도카이 지진과 난카이 지진이 연동된 대규모 지진으로 에도 시대에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고 후지산 호에이 대분화를 촉발했다. - 러시아의 지진해일 - 2024년 노토반도 지진
2024년 노토반도 지진은 레이와 6년 노토반도 지진으로도 불리며, 2020년부터 지속된 군발지진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한 규모 Mj 7.6의 강력한 지진으로 이시카와현에 최대 진도7의 흔들림을 일으키고 쓰나미와 광범위한 피해를 야기했다. - 러시아의 지진해일 -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
1952년 세베로쿠릴스크 지진은 쿠릴-캄차카 해구에서 발생한 모멘트 규모 9.0의 해구형 지진으로, 쓰나미를 동반하여 세베로쿠릴스크에 큰 피해를 입혔고, 지구 자유진동 확인 및 태평양 전역에 쓰나미 피해를 일으켰다.
샤코탄반도 해역 지진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샤코탄 반도 해역 지진 |
다른 이름 | 가무이미사키오키지신 (神威岬沖地震, ja) |
현지 날짜 | 1940년 8월 2일 |
현지 시간 | 오전 0시 8분 22초 (JST) |
위치 | 일본 홋카이도 샤코탄 반도 북서쪽 해역 |
지진 정보 | |
규모 종류 | 일본 기상청 규모 (Mⱼ) |
규모 | 7.5 |
모멘트 규모 | 7.5 ( |
진도 종류 |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
최대 진도 | 4 |
최대 진도 지역 | 홋카이도 하보로정 |
지진 유형 | |
유형 | 역단층형 |
여진 정보 | |
해일 정보 | |
해일 발생 여부 | 예 |
해일 높이 | 홋카이도 리시리섬 최대 관측 러시아 카멘카 최대 관측 대한민국 울릉도 최대 관측 |
피해 정보 | |
사망자 | 10명 |
부상자 | 24명 |
피해 지역 | 홋카이도 서부 |
영향 지역 | 일본, 러시아, 한국 |
기타 정보 | |
기상청 데이터 | 기상청 |
ISC 이벤트 | 901515 |
ANSS URL | iscgem901515 |
2. 지질학적 환경
일본은 태평양판, 필리핀해판, 오호츠크판, 아무르판 사이의 수렴 경계 위에 있다. 일본 열도 동쪽 및 남동쪽 해안을 따라 일본 해구와 난카이 해곡에서 각각 태평양판과 필리핀해판이 섭입하고 있다.[1]
샤코탄반도 해역 지진은 유라시아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역인 일본해 동연 변동대에서 발생했다.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 사이에는 지진의 공백역이 남아있다.
2. 1. 동해 동연 변동대
일본은 태평양판, 필리핀해판, 오호츠크판, 아무르판 사이의 수렴 경계 위에 있다. 열도 동쪽과 동남쪽 해안을 따라 각각 일본 해구와 난카이 해곡에서 태평양판과 필리핀해판이 섭입하고 있다.[22]일본 서해안에 있는 동해는 마이오세 초기에 열개와 주향이동단층형 지각의 이동으로 형성된 배호분지다. 플라이오세 말기에는 지각이 동서 압축을 받으면서 동해 동쪽 가장자리에 습곡 및 충상단층대가 형성되었다.[27][25] 아무르판과 오호츠크판 사이에 있는 이 지각 지형은 베니오프대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이제 막 동쪽으로 섭입해 들어가는 충상단층으로 구성된 초기 섭입대로 추정된다.[23][24][25] 이 초기 섭입대를 동해 동연 변동대라고 부른다.[22]
동해 동연 변동대에서는 열개와 이어진 반전 현상 때문에 경계인 혼슈 서해안를 따라 규모 M6.8~7.9의 지진을 일으킬 수 있는 일련의 여러 단층이 생겨났으며, 이 단층은 많은 경우 지진과 함께 큰 쓰나미도 일으킨다.[22] 동해 동연 변동대에서 발생한 대표적인 지진으로 1741년, 1833년, 1940년, 1964년, 1983년, 1993년의 지진이 있으나 1741년 지진은 화산 활동으로 추정되며 그 발생 여부에 대해 아직 논쟁중이다.[26] 이런 지진은 변동대의 변형이 진행중이며 습곡 및 충상단층대를 따라 많은 힘을 받고 있음을 나타낸다.[27] 1987년 7월에 실시된 잠수 조사에서 3500m 해저에서 얻은 시료를 통해 발생 간격이 500~1000년으로 추정된다.[19]
3. 지진
1940년 샤코탄반도 해역 지진은 유라시아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역인 일본해 동연 변동대에서 발생했다. 1987년 7월, 3500m 해저에서 얻은 시료를 통해 지진 발생 간격이 500~1000년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19] 샤코탄반도 해역 지진과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 사이에는 지진의 공백역이 남아있다.
3. 1. 단층 파열
혼슈와 홋카이도 서해안에서부터 북쪽으로는 사할린까지 이어지는 동해 동연 변동대의 지진대에서는 20세기 동안 여러 차례 큰 지진이 발생했다. 1940년 지진은 1993년 지진보다 북쪽의 일부 단층분절(홋카이도 서쪽 해역) 일부를 파열시켰다.[27] 1940년 지진의 단층면해 분석 결과 남북 주향면에 가까운 거의 순수한 경사단층(역단층)에 해당하며, 1960년대와 1980년대 연구에서 지진학자들은 이 지진의 단층 파열 크기를 다양하게 해석했다.[27] 쓰나미 데이터를 사용해 해석한 진원역은 북북서-남남동쪽 주향을 가진 170km×70km 영역이며,[28] 그 이동 크기는 100km×35km 영역에 달한다.[29] 이 역단층면은 동해 동연과 거의 평행하며 가파르게 가라앉는 방향이다.[30]이 지진으로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는 기타오쇼로 단층, 오쇼로 단층, 미나미오쇼로 단층, 가이요 단층 등 4개 단층이 파열되었다. 2000년대 지진 발생 지역 주변의 해역을 잠수함을 통해 조사한 결과 습곡 및 충상단층대의 배사면이 지진 흔들림의 영향을 받았음이 밝혀졌다. 오쇼로와 미나미오쇼로 배사(배사의 기저에 있는 단층)에서는 최근사이 해저면이 교란된 흔적이 발견되었지만 오쇼로와 미나미오쇼로 단층이 이 당시 파열되었음을 보여주는 심해 퇴적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기타오쇼로 단층은 남쪽 부분만 파열되었으며 단층 파열 범위는 북쪽을 향했을 가능성이 높다. 오쇼로단층과 미나미오쇼로 단층의 미끄러진 폭은 각각 2.2m, 2.7m이며 쓰나미를 통한 지진 역분석을 통해 유추했다. 기타오쇼로 단층과 가이요 단층의 미끄러진 폭은 각각 1.6m, 0.6m로 추정되었다.[27]
국제지진센터는 이 지진을 모멘트 규모 Mw7.5로, 진원 깊이는 15km로 계산했다.[31] 일본 기상청은 일본 기상청 규모 기준 지진의 규모를 M7.5라고 발표했다. 본진 이후 매우 작은 규모의 많은 여진이 이어졌다. 여진은 비정상적으로 갑작스럽게 빠른 속도로 감소했다. 여진역의 폭은 약 190km 길이이다.[30]
3. 2. 여진 및 진도
국제지진센터는 이 지진을 모멘트 규모 Mw7.5, 진원 깊이는 15km로 계산했다.[31] 일본 기상청은 일본 기상청 규모 기준 M7.5라고 발표했다. 본진 이후 매우 작은 규모의 여진이 이어졌으며, 여진은 비정상적으로 갑작스럽게 빠른 속도로 감소했다. 여진역의 폭은 약 190km 길이이다.[30] 본진의 최대진도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기준 하보로정, 루모이시, 호로노베정, 이와나이정, 오토베촌에서 진도4를 관측했다.[32]4. 쓰나미
쓰나미는 진원지 근처인 홋카이도에서는 비교적 잠잠했지만 멀리 떨어진 대한민국과 러시아에서 큰 폭으로 관측되었다.
일본 내에서는 리시리섬, 도마마에정의 항구에서 최대 3m, 데시오정과 하보로정에서 2m를 기록하는 등 홋카이도 대부분 지역에서 2m 이하를 관측했으며, 교토부 해안에서도 1m를 관측했다.[32] 이와나이정에서는 최대 1.7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30]
대한민국 해안에서는 울릉도에서 최대 2m의 쓰나미를 관측했고, 묵호항에서 1.2m, 북한의 나진에서는 0.5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 또한 삼척 지역에서 가옥 56채와 선박 6척의 피해 기록이 남아 있다.[33] 러시아에서는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해안인 루드나야프리스탄와 카멘카에서 각각 최대 3.5m, 5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34]
4. 1. 쓰나미 관측 기록
쓰나미는 진원지 근처인 홋카이도에서는 비교적 잠잠했지만 멀리 떨어진 대한민국과 러시아에서 큰 폭으로 관측되었다. 일본 내에서는 리시리섬, 도마마에정의 항구에서 최대 3m, 데시오정과 하보로정에서 2m를 기록하는 등 홋카이도 대부분 지역에서 2m 이하를 관측했으며, 교토부 해안에서도 1m를 관측했다.[32] 이와나이정에서는 최대 1.7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30][9]대한민국 해안에서는 울릉도에서 최대 2m의 쓰나미를 관측했고, 묵호항에서 1.2m, 북한의 나진에서는 0.5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 또한 삼척 지역에서 가옥 56채와 선박 6척의 피해 기록이 남아 있다.[33] 러시아에서는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해안인 루드나야프리스탄와 카멘카에서 각각 최대 3.5m, 5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34][11]
4. 2. 대한민국 및 러시아의 쓰나미 피해
쓰나미는 진원지 근처인 홋카이도에서는 비교적 잠잠했지만 멀리 떨어진 대한민국과 러시아에서 큰 폭으로 관측되었다. 일본 내의 경우 리시리섬, 도마마에정의 항구에서 최대 3m, 데시오정과 하보로정에서 2m로 홋카이도 대부분에서 2m 이하를 관측했으며 교토부 해안에서도 1m를 관측했다.[32] 이와나이정의 경우 최대 1.7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30]대한민국 해안에서는 울릉도에서 최대 2m의 쓰나미를 관측했고, 묵호항 1.2m, 북한의 나진에서는 0.5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 또한 삼척 지역에서 가옥 56채 피해, 선박 6척 피해 기록이 남아 있다.[33] 러시아에서는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해안인 루드나야프리스탄와 카멘카에서 각각 최대 3.5m, 5m의 쓰나미를 관측했다.[34]
5. 피해 기록
태평양 전쟁 당시 전시 상황에서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처럼 남아있는 피해 기록은 적지만, 사망자 10명, 주택 붕괴 26채, 주택 반파 7채의 피해 기록이 남아있다.[35] 지진으로 인한 직접적인 피해는 경미했다.[36]
홋카이도 서부 전역과 러시아 일부 지역에서 흔들림이 관측되었다. 아오모리현 전역, 이와테현 미즈사와시, 이바라키현 쓰쿠바시에서도 약한 진동이 기록되었다.[37]
쓰나미는 홋카이도, 러시아 프리모르스키 지방, 사할린섬을 휩쓸고 지나가면서 수천 척의 어선과 나무를 휩쓸고 갔다.[38] 샤코탄반도에서 발생한 데시오강 하구 익사자 10명을 포함하여, 주택 20채가 파괴되었고, 배 644척이 떠내려갔으며 612척이 파손되었다. 또한 24명이 부상을 입었다.[28]
러시아 카멘카에서는 8월 2일 오전 1시(현지시각) 경 쓰나미가 덮쳐 고속어뢰정 3척이 휩쓸려 오프리치닌카강과 프리아마이아파트강 사이 이탄지대 내륙까지 들어가 버려졌다. 프리아마이아파트강 인근의 자레치나이아와 나베레스나이아 거리는 대부분 물에 잠겼다. 한 생선 공장은 1층이 침수되었다. 소련 지역의 사상자는 없었다.[34]
5. 1. 홋카이도 지역 피해
태평양 전쟁 당시 전시 체제였고, 인구가 적은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이었기 때문에 1944년 쇼와 도난카이 지진처럼 남아있는 피해 기록이 적지만, 사망자 10명, 주택 붕괴 26채, 반파 7채라는 기록이 남아 있다.[35] 지진의 흔들림으로 인한 피해는 경미했다고 기록되어 있다.[36]쓰나미가 홋카이도를 덮치면서 수천 척의 어선과 나무를 휩쓸고 갔다. 샤코탄반도에 있는 데시오강 하구에서 익사자 10명이 발생했다.[38] 또한 주택 20채가 파괴되었으며 배 644척이 떠내려가고 612척이 파손되는 피해가 기록되었다.[39] 24명이 부상을 입었다.[28]

지역별 피해 상황은 다음과 같다.
지역 | 피해 내용 |
---|---|
시리베시 종합진흥국 | 어선 1척 침몰, 20척 손실 |
소야 종합진흥국 | 선박 550척 손실, 189척 파괴 |
루모이시 | 건물 14채 붕괴, 43채 부분 파괴, 화재로 26채 소실, 어선 721척 피해, 총 피해액 26만엔 |
사도섬 | 경미한 피해[28] |
한반도 | 경미한 피해[28] |
6. 지진재해 전승비
데시오정에는 비석으로 된 "추모비"가 있으며, 2019년 국토지리원 웹 지도에 자연재해 전승비로 기록되어 있다.[40] 덴엔정이 아니라 데시오정과 동일한 지자체이므로, 덴엔정 내용은 삭제한다.
7. 지진학적 연구
1987년 7월에 실시된 잠수 조사에서 해저 3,500m 지점에서 채취한 시료를 통해 지진 발생 간격이 500~1,000년으로 추정된다.[19] 유라시아판과 북아메리카판의 경계역(일본해 동연 변동대)에서 발생한 지진이다. 샤코탄반도 해역 지진과 홋카이도 남서쪽 해역 지진 사이에는 지진의 공백역이 남아있다.
참조
[1]
논문
Regional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ssessment associated with active faults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Sea of Japan
2020-09-03
[2]
논문
Unusual rupture process of the Japan Sea earthquake
https://deepblue.lib[...]
1993-08-24
[3]
논문
Fault plane of the 1964 Niigata earthquake, Japan, derived from relocation of the mainshock and aftershocks by using the modified joint hypocenter determination and grid search methods
2013
[4]
논문
Incipient subduction and deduction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Japan Sea
https://www.scienced[...]
2022-06-20
[5]
논문
Volcanic origin of the 1741 Oshima-Oshima tsunami in the Japan Sea
https://earth-planet[...]
2007
[6]
논문
Paleoseismology of deep-sea faults based on marine surveys of northern Okushiri ridge in the Japan Sea
2005-09-24
[7]
논문
Reexamination of tsunami source models for the twentieth century earthquakes off Hokkaido and Tohoku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Sea of Japan
2022-04-12
[8]
논문
Re-examination of the 1940 Shakotan-oki earthquake and the fault parameters of the earthquakes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Japan Sea
1986-06
[9]
논문
Mechanism of large earthquakes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Japan Sea
1975-04
[10]
간행물
ISC-GEM Global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ue (1904–2018)
http://www.isc.ac.uk[...]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11]
논문
The manifestation of tsunami of August 1, 1940 in the Kamenka settlement, Primorye (new data concerning the old tsunami)
http://journal.imgg.[...]
2023-01-09
[12]
뉴스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World Data Service (NGDC/WDS): NCEI/WDS Global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https://www.ngdc.noa[...]
[13]
뉴스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World Data Service: NCEI/WDS Global Historical Tsunami Database.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https://www.ngdc.noa[...]
[14]
웹사이트
1940年(昭和15年)の積丹半島沖地震
http://kyouiku.bousa[...]
ほっかいどうの防災教育ポータルサイト
[15]
웹사이트
1940/08/02の地震
https://www.data.jma[...]
[16]
웹사이트
過去に発生した道内各地域の主な地震被害
http://www.pref.hokk[...]
[17]
서적
北海道の地震
北海道大学図書刊行会
[18]
웹사이트
積丹半島沖地震(1940年)
http://www.bousai.go[...]
内閣府
[19]
논문
深海底タービダイトからみた 1940 年積丹半島沖地震震源域周辺の地震発生間隔
https://doi.org/10.1[...]
2003-09-10
[20]
웹사이트
「世界津波の日」に合わせて津波災害の教訓を確認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北海道地方測量部
2020-01-02
[21]
웹사이트
1940/08/02の地震
https://www.data.jma[...]
일본 기상청
[22]
논문
Regional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ssessment associated with active faults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Sea of Japan
2020-09-03
[23]
논문
Unusual rupture process of the Japan Sea earthquake
https://deepblue.lib[...]
1993-08-24
[24]
논문
Fault plane of the 1964 Niigata earthquake, Japan, derived from relocation of the mainshock and aftershocks by using the modified joint hypocenter determination and grid search methods
2013
[25]
논문
Incipient subduction and deduction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Japan Sea
https://www.scienced[...]
2022-06-20
[26]
논문
Volcanic origin of the 1741 Oshima-Oshima tsunami in the Japan Sea
https://earth-planet[...]
2024-01-01
[27]
논문
Paleoseismology of deep-sea faults based on marine surveys of northern Okushiri ridge in the Japan Sea
2005-09-24
[28]
논문
Reexamination of tsunami source models for the twentieth century earthquakes off Hokkaido and Tohoku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Sea of Japan
2022-04-12
[29]
논문
Re-examination of the 1940 Shakotan-oki earthquake and the fault parameters of the earthquakes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Japan Sea
https://archive.org/[...]
1986-06
[30]
논문
Mechanism of large earthquakes along the eastern margin of the Japan Sea
1975-04
[31]
간행물
ISC-GEM Global Instrumental Earthquake Catalogue (1904–2018)
http://www.isc.ac.uk[...]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32]
웹사이트
積丹半島沖地震(1940年)
http://www.bousai.go[...]
内閣府
[33]
웹인용
관측관 지진해일
https://www.kma.go.k[...]
온라인 지진 과학관
2024-01-23
[34]
논문
The manifestation of tsunami of August 1, 1940 in the Kamenka settlement, Primorye (new data concerning the old tsunami)
http://journal.imgg.[...]
2023-01-09
[35]
웹사이트
過去に発生した道内各地域の主な地震被害
http://www.pref.hokk[...]
北海道庁
[36]
데이터베이스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World Data Service (NGDC/WDS): NCEI/WDS Global Significant Earthquake Database
https://www.ngdc.noa[...]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37]
웹인용
1940年(昭和15年)の積丹半島沖地震
http://kyouiku.bousa[...]
ほっかいどうの防災教育ポータルサイト
[38]
서적
北海道の地震
北海道大学図書刊行会
[39]
데이터베이스
National Geophysical Data Center / World Data Service: NCEI/WDS Global Historical Tsunami Database
https://www.ngdc.noa[...]
NOAA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40]
웹인용
「世界津波の日」に合わせて津波災害の教訓を確認
https://www.gsi.go.j[...]
国土地理院北海道地方測量部
2020-0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